본문 바로가기
2차 산업(플라스티 사출 성형, 스마트 팩토리)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10. 성형 치수 불량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by SulWoong 2024. 3. 14.
반응형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서 치수 불량은 제품의 기능성과 조립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품질 문제입니다. 특히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일수록 치수 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집니다. 수축, 휨, 후수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치수 불량은 단순한 외관 불량을 넘어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수 불량의 유형, 원인, 그리고 효과적인 해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플라스틱 사출 불량 : 성형 치수 불량

1. 플라스틱 사출 치수 불량의 이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서 치수 불량이란 설계된 제품 치수와 실제 생산된 제품의 치수 간에 허용 공차를 벗어난 차이가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제품 전체 치수의 불량일 수도 있고, 특정 부위나 형상에 국한된 불량일 수도 있습니다. 치수 불량은 크게 수축 관련 불량과 변형 관련 불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정 조건, 금형 설계, 재료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플라스틱 제품은 금형 내에서 용융된 수지가 냉각되면서 고화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축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수축은 재료의 종류, 성형 조건, 제품 구조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균일하지 않은 수축은 치수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또한 성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후수축(post-shrinkage)도 치수 불량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2. 치수 불량의 주요 유형

2.1. 전체 치수 불량

전체 치수 불량은 제품 전반에 걸쳐 설계 치수보다 크거나 작게 성형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과도한 수축이나 불충분한 충진으로 인해 제품이 설계보다 작게 성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과충진이나 금형 설계 오류로 인해 제품이 설계보다 크게 성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전체 치수 불량은 주로 수지의 수축률 예측 오류, 공정 조건의 부적절한 설정, 금형 설계 시 수축 보정 부족 등이 원인이 됩니다. 특히 결정성 수지(PP, PA, POM 등)는 비결정성 수지(ABS, PC, PMMA 등)에 비해 수축률이 크고 변동성도 높아 치수 관리가 더욱 까다롭습니다.

2.2 .부분 치수 불량

부분 치수 불량은 제품의 특정 부위나 형상에서만 치수 이상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제품 구조의 불균일한 두께, 리브나 보스와 같은 구조물의 영향, 게이트 위치 등으로 인해 수지의 흐름과 냉각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발생합니다. 특히 두꺼운 부위와 얇은 부위가 인접해 있는 경우, 냉각 속도 차이로 인한 불균일한 수축이 발생하여 부분적인 치수 불량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언더컷이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부위에서도 치수 불량이 자주 발생합니다.

2.3 후수축에 의한 치수 불량

후수축은 성형 직후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축이 진행되어 발생하는 치수 불량입니다. 이는 주로 결정성 수지에서 많이 발생하며, 결정화 과정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제품이 금형에서 취출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적인 결정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합니다.

또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한 내부 응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면서 치수 변화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수지의 경우, 섬유 배향에 따른 비등방성 수축으로 인해 후수축 문제가 더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치수 불량의 주요 원인

3.1. 재료 관련 요인

수지의 종류와 특성은 치수 불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정성 수지(PP, PA, POM 등)는 비결정성 수지(ABS, PC, PMMA 등)에 비해 수축률이 크고, 성형 조건에 따른 변동성도 높습니다. 또한 동일한 수지라도 등급, 첨가제, 로트(batch)에 따라 수축 특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재생 수지를 사용하거나 여러 로트의 수지가 혼합된 경우, 수축 특성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치수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수지의 건조 상태도 중요한 요인으로, 불충분한 건조는 수축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2. 공정 조건 관련 요인

사출 압력, 보압, 냉각 시간, 금형 온도, 수지 온도 등의 공정 조건은 치수 불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보압 조건(압력, 시간)은 수축을 제어하는 핵심 요소로, 부적절한 보압 설정은 치수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또한 금형 온도의 불균일한 분포는 부분적인 치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과도하게 짧은 냉각 시간은 취출 후 추가적인 수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사출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느린 경우에도 수지의 흐름과 압력 분포에 영향을 미쳐 치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3. 금형 설계 및 구조 관련 요인

금형 설계 단계에서 적절한 수축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수 불량이 발생합니다. 특히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두께 차이가 큰 경우, 수축 보정이 더욱 까다롭습니다. 또한 게이트 위치와 크기, 런너 시스템의 설계도 수지의 흐름과 압력 분포에 영향을 미쳐 치수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냉각 채널의 설계 및 배치 또한 중요한 요소로, 냉각 효율이 불균일할 경우 부분적인 치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형 자체의 변형이나 마모도 치수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사용된 금형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4. 치수 불량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

4.1. 재료 관리 및 최적화

치수 안정성이 높은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동일한 로트의 수지를 사용하고, 재생 수지 사용 시에는 버진 수지와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지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조건에 따라 충분한 건조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수축 특성이 안정적인 수지를 선택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축 안정제나 충전제(filler)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유리섬유나 미네랄 충전제는 수축률을 낮추고 치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2. 공정 조건 최적화

보압 조건(압력, 시간)을 최적화하는 것은 치수 불량 해결의 핵심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압은 게이트가 굳어지기 직전까지 충분히 유지되어야 하며, 압력은 제품의 두께와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사출 압력과 속도도 균일한 충진을 위해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금형 온도는 수지 종류에 따른 권장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냉각 시간은 제품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특히 두꺼운 부위가 있는 제품은 더 긴 냉각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형 사이클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4.3. 금형 설계 및 유지관리 개선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불가능한 경우 적절한 리브 구조나 보강재를 통해 불균일한 수축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금형 설계 시 수지의 종류와 공정 조건에 맞는 적절한 수축 보정을 적용해야 합니다.

냉각 채널의 최적화도 중요합니다. 제품의 형상과 두께 분포에 맞춰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냉각 채널을 설계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컨포멀 쿨링(conformal cooling) 기술을 통해 복잡한 형상에도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해졌습니다.

금형의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도 필수적입니다. 금형의 마모, 손상, 변형 등이 치수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이를 예방해야 합니다. 특히 고압으로 운영되는 금형은 장기간 사용 시 변형 가능성이 높아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치수 불량 예방을 위한 체계적 접근

5.1. 설계 단계에서의 예방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치수 불량을 예방하는 접근이 중요합니다. DFM(Design for Manufacturing) 원칙을 적용하여 균일한 두께, 적절한 구배, 리브 구조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몰드 플로우(Mold flow) 해석을 통해 충진 패턴, 압력 분포, 수축 경향 등을 미리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치수 공차가 중요한 부위는 별도의 인서트나 슬라이드 구조를 활용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후가공 공정(예: 기계 가공)을 통해 중요 치수를 최종 조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5.2. 품질 모니터링 및 피드백 시스템

지속적인 치수 모니터링과 피드백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주요 치수에 대한 정기적인 측정과 통계적 공정 관리(SPC) 기법을 활용하여 치수 변동 추이를 분석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신규 금형이나 제품 개발 시에는 더욱 세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초기 생산품의 치수 분석을 통해 필요한 공정 조건 조정이나 금형 수정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치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원인 분석을 통해 유사한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3. 작업자 교육 및 표준화

작업자의 역량과 인식도 치수 불량 예방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공정 조건의 중요성, 치수 검사 방법, 불량 발생 시 대응 절차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공정 조건, 검사 방법, 불량 대응 절차 등을 표준화하여 일관된 품질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치수 관리가 중요한 제품일수록 작업 지시서나 검사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정기적인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작업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6. 결론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서 치수 불량은 제품의 기능성과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품질 문제입니다. 치수 불량은 재료 특성, 공정 조건, 금형 설계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므로, 체계적인 접근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성공적인 치수 관리를 위해서는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료 선정, 금형 설계, 공정 조건 최적화, 품질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시뮬레이션 기술과 통계적 공정 관리 기법을 활용한 예방적 접근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치수 안정성이 높은 고품질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품질 관리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 요구를 충족하는 신뢰성 높은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다른 사출 성형 불량 유형 바로가기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1. 서슬(Flash/Burr)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2. 미성형(Short Shot)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3. 과충진(Over Pack)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4. 싱크마크(Sink Mark)와 기포(Void)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5. 웰드라인(Weld Line)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6. 휨(Warp)과 변형(Distortion) 원인 및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7. 스트링(String, 실바리)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8. 플로 마크(Flow Mark,플로우 마크, 유동마크) 원인과 해결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9. 이물(Invader)과 흑점(Black dot)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11. 성형품의 불균형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12. 은선, 흑선, 탄 자국, 제팅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불량 13. Glass Fiber 관련 불량(뜸, 전사 불량, 이형 불량, 크레이지 크랙킹)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

반응형